티스토리 뷰
다른 나라들과 달리 한국에서는 나이를 2가지로 분류해서 사용합니다.
바로 세는 나이와 만 나이인데요, 일반적으로는 사용하는 나이는 세는 나이이지만 실제적으로 법률 및 각종 공문서, 언론보도 등에서는 만 나이를 사용합니다. 성인이 되는 나이도 만 나이로 계산하고 있죠.
만 나이 계산기를 사용하기 전에, 먼저 세는 나이와 만 나이가 정확히 무엇인지 확인해 봅시다.
세는 나이는 횃수 나이, 전통 나이, 한국 나이라고도 바꿔 말할 수 있는데요, 태어나면서부터 한 살로 시작해서 새해 1월 1일을 맞이할 때마다 한 살씩 더 먹는 나이 계산법입니다. 세는 나이를 한국 나이로도 부를만큼 한국 외에는 쓰는 곳이 거의 없는 나이 계산법입니다.
이 계산법대로 한국에서는 태어나자마자 1살이 되며, 새해를 기준으로 나이를 더해 갑니다. 새해를 기준으로 나이를 더하기 때문에, 태어난 해가 같다면 그 해의 난 아기들의 나이는 모두 같습니다. 2017년 1월 1일에 태어난 아기나 2017년 12월 31일에 태어난 아기나 모두 1살이죠. 같은 17년생이기 때문입니다.
만 나이는 태어난 때를 기점으로 매 생일을 맞을 때마다 한 살씩 더 먹는 나이 계산법입니다. 만이라는 말은 한자 '찰 만(滿)'을 사용하고 있는데요, 한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태어난 날부터 다음 생일이 돌아오는 1년까지 꽉 차야 한 살을 더 먹는 계산법입니다.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.
이 계산법으로 계산하면, 같은 해에 태어난 것과는 상관없이 태어난 날짜가 중요시됩니다. 같은 해에 태어났어도 2017년 1월 1일에 태어난 사람이 2017년 12월 25일에 태어난 사람보다 나이를 빨리 먹습니다.
이렇게 세는 나이와 만 나이를 알아보았는데요, 만으로 나는 몇 살일까 구체적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.
외국인들은 물론, 한국인들도 2가지 나이를 사용하다보니 충분히 헷갈릴 수 있는 부분입니다.
네이버에 '나이계산기'를 검색해서 사용해 보겠습니다.
91년생을 기준으로 만 나이를 계산해 보겠습니다. 한 명은 8월생, 한 명은 11월생으로 예를 들겠습니다.
세는 나이로는 2017년 기준 27세입니다. 태어난 해가 91년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나이 또한 같습니다.
만 나이는 어떨까요? 오늘 8월 8일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.
먼저 8월생은 태어난 날이 8월 2일일 경우, 만 나이는 26세입니다. 8월 2일을 기준으로 생일이 지났기 때문입니다. 11월생은 태어난 날이 언제든 아직 만 25세입니다. 11월 생일이 지나야 1살을 더 먹는데 아직 8월달이기 때문이죠.
같은 해에 태어났어도 누가 생일이 먼저 돌아오느냐에 따라 나이 차가 나게 됩니다.
나이계산기를 사용하면 바로 만 나이를 알 수 있지만, 어떻게 이런 계산이 나오는지 아는 것도 중요하겠죠?
이렇다보니 세는 나이와 만 나이가 2살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대게 생일이 느린 사람들이 그러합니다.
11월이나 12월생은 태어나면 세는 나이로 1살, 만 나이는 0살일텐데요, 바로 해가 바뀌면서 세는 나이로 2살을 먹지만, 만 나이로는 한 두달 밖에 안 된, 아직 0살의 갓난아이입니다. 이러다 보니 세는 나이와 만 나이가 2살 차이가 나게 되는거죠.
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저는 별다른 불편함이 없지만, 아직 어린 분들이나 외국인들에게는 생소하고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겠네요. 여기에 세는 나이로 비롯된 빠른연생, 느린연생까지 따지면 더욱 복잡합니다. 뭐, 요즘은 빠른연생, 느린연생 자체가 없어졌다고는 하더군요. 이제는 본인이 만으로 몇 살인지 정확히 알 수 있겠죠?^^